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메인과 웹호스팅 용어정리 및 DNS 개념 이해하기

by 그냥해v 2025. 7. 10.

도메인과 웹호스팅 용어정리 및 DNS 개념 이해하기
처음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분들이 가장 처음 마주하는 단어가 바로 도메인, 웹호스팅, 그리고 DNS입니다. 이 세 가지는 사이트가 인터넷에서 작동하도록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용어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개념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도메인과 웹호스팅 용어정리 및 DNS 개념

도메인이란?

도메인(Domain)은 인터넷상의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할 때 입력하는 주소입니다. 도메인은 IP 주소(숫자로 된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도메인 예시: google.com, naver.com, myblog.co.kr
  • 도메인 구조: www(서브도메인) + example(도메인 이름) + .com(최상위 도메인)

웹호스팅이란?

웹호스팅(Web Hosting)은 웹사이트 파일(HTML,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인터넷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서버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웹사이트의 '집'에 해당하는 공간입니다.

  • 호스팅 회사 예시: 카페24, 가비아, 아마존 AWS, Bluehost 등
  • 웹호스팅 종류: 공유호스팅, VPS, 클라우드 호스팅, 전용 서버 등

도메인과 웹호스팅의 차이

도메인과 웹호스팅은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 도메인: 방문자가 웹사이트를 찾기 위한 주소 (ex. www.example.com)
  • 웹호스팅: 웹사이트의 실제 파일이 저장된 공간

이 두 가지는 반드시 함께 있어야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도메인만 있으면 주소만 있고, 웹호스팅만 있으면 주소가 없는 사이트가 되는 셈이죠.

DNS란 무엇인가?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DNS가 이를 서버의 실제 IP 주소로 바꾸어 접속할 수 있게 합니다.

  • 역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 IP 주소로 변환
  • 예: example.com → 192.168.0.1

네임서버(Name Server)란?

네임서버는 DNS 시스템 내에서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저장하고 응답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메인을 웹호스팅과 연결할 때 반드시 네임서버 정보를 설정해야 합니다.

예: ns1.examplehost.com / ns2.examplehost.com

정리: 도메인, 웹호스팅, DNS의 관계

아래는 이 세 가지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간단한 흐름도입니다:

  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도메인 입력
  2. DNS가 해당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3. 변환된 IP 주소를 통해 웹호스팅 서버에 접속
  4. 웹사이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

도메인, 웹호스팅, DNS는 각각 독립적이지만, 하나의 웹사이트를 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함께 작동해야 합니다. 각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면, 향후 사이트 운영이나 애드센스 승인 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쉽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TIP: 도메인을 구입하고 웹호스팅을 설정했다면, 반드시 네임서버(DNS 설정)를 확인하세요. 연결이 잘못되면 사이트가 열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