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스토리 애드센스 ads.txt 문제, 5분 만에 해결하는 방법

by 그냥해v 2025. 7. 6.

티스토리 애드센스 ads.txt 문제, 5분 만에 해결하는 방법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으려는데 ads.txt 상태가 '찾을 수 없음'으로 뜨시나요?

자동 입력이 아니라 수동으로 직접 설정을 해주는 부분이라 조금 번거롭긴 하지만 승인 받기 위해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설정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ads.txt가 무엇인지부터 직접 만들고 티스토리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5분 만에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본문 ads.txt란 무엇인가?

블로그에 애드센스를 적용하다 보면 "ads.txt 상태: 찾을 수 없음"이라는 메시지를 만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거나 애드센스를 새로 신청한 분들에게는 이게 뭐지?...여기저기 검색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ads.txt"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ads.txt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줄임말로, 디지털 광고 사기를 막기 위한 표준 텍스트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여러분의 블로그(도메인)에서 광고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표시해주는 파일입니다.

쉽게 말해, 내 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있도록 광고 플랫폼에 정확하게 알려주는 문서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 애드센스가 내 블로그에 광고를 실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ads.txt 파일을 통해 증명하는 것입니다. 이 파일이 없거나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광고가 게재되지 않거나 수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측에서도 이 파일이 누락되었을 때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싶다면 ads.txt를 반드시 추가해야 합니다.

 

ads.txt 파일 만들기

ads.txt 파일은  초보자 분들도 어렵지 않게 메모장만 있으면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구글 애드센스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한 줄을 파일에 입력하면 됩니다.

애드센스에 로그인하면, ads.txt 관련 경고 메시지 옆에 "다운로드" 또는 "자세히 알아보기" 링크가 표시됩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는 텍스트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rust 복사 편집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 DIRECT, f08c47fec0942fa0
여기서 pub-0000000000000000 부분은 여러분의 애드센스 퍼블리셔 ID입니다.
이 ID는 애드센스 관리자 페이지의 계정 설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퍼블리셔 ID를 복사해서 위 문구의 pub- 뒤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예시: rust 복사 편집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이 한 줄만 입력해서 메모장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파일 이름은 꼭 ads.txt로 저장해야 하며, 확장자가 .txt인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저장할 때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고,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지정한 다음 ads.txt로 입력하면 1차적으로 파일 만들기가 완성됩니다.

ads.txt 파일 티스토리 블로그에 올리기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아까 만들어 두었던 ads.txt 파일을 티스토리에 업로드할 차례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확인할 부분이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루트 디렉토리 접근 권한이 없는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즉, 일반적인 웹호스팅처럼 ads.txt 파일을 직접 사이트 최상단에 올릴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다행히도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ads.txt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합니다.
2.우측 상단의 관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3.왼쪽 메뉴에서 수익 - Google 애드센스항목으로 들어갑니다.

4.화면 하단으로 스크롤하면 ads.txt 설정 섹션이 보입니다.

5.앞에서 만든 ads.txt 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

6.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작업을 완료하면, 티스토리는 자동으로 ads.txt 파일을 여러분의 블로그 주소에 맞춰 게시해 줍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주소가 https://example.tistory.com이라면, https://example.tistory.com/ads.txt로 접속했을 때 우리가 작성한 내용이 정상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제 애드센스 관리자 페이지로 돌아가 보면, 며칠 안에 'ads.txt 상태: 찾을 수 없음' 경고가 사라지게 됩니다. 보통 최대 24~48시간 정도 시간이 걸리기도 하니까 여유를 갖고 기다리시면 초록색으로  글씨가 바뀌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ads.txt 상태

마무리 하며 

티스토리에서 ads.txt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겉보기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간단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아마도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여러개를 운영하실테니 한번 설정해두시면 그 다음부터는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글쓰는데도 시간이 많이 드는데 이런 문제까지 해결해야 되는가 싶으신가요? 구글 애드센스를 하려면 필수적으로 해야하니  텍스트 복사해서 티스토리 블로그에  ads.txt 설정란에 입력하고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ads.txt 파일은 무엇보다 내 블로그 광고 수익에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작은 설정 하나로 광고 신뢰도는 물론, 수익 안정성까지 얻을수 있으니 반드시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 티스토리 애드센스 ads.txt 문제, 5분 만에 해결하는 방법 잘 따라서 하셨나요? 제가 알려드린 방법대로 따라 하셨다면, 애드센스  수익의 기본 세팅은 잘 하신겁니다. 블로그 방문 감사드리며 지금 바로 ads.txt 설정하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수익형 블로그로 천천히 운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